이왕 블로그를 해보기로 했으니 데이터를 활용해 보기로 했습니다. 키워드 검색량부터 블로그 순위에 블로그 검색 누락 노출 확인 까지 정말 쉬운게 하나 없습니다. 블로그 조차 경쟁시대라는걸 다시 한번 뼈져리게 느낍니다. 관련 정보를 얻어보고자 여기저기 기웃거리다가 웨어이즈포스트(whereispost)라는 사이트를 알게 됐습니다.어떤 목적의 사이트인지 아주 간단명료하게 알려주는 사이트명입니다. 

웨어이즈포스트(whereispost)사용하기

우선 접속을 해봤습니다. 사이트에 명시된 기능설명을 보니 우선 발행한 글이 네이버 블로그 영역에 정상 노출되는지를 확인 할 수 있고 발행한 글의 노출 누락 여부를 쉽게 확인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네이버 검색을 기반으로 구동되는 사이트인듯 합니다. 사이트 설명은 이 정도만 해도 충분할듯 하고 본격적으로 사용법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웨어이즈포스트 메인화면

화면 구성도 간단합니다. 웨어이즈포스트, 키워드마스터, 셀러마스터, 부업통장 이렇게 4가지 메뉴가있는데 앞에 두 메뉴는 블로그 운영에 사용하는 메뉴이고 셀러마스터는 스마트스토어 운영에 그리고 부업통장은 뭔지 잘 모르겠습니다. 오늘 집중적으로 볼 부분은 웨어이즈포스트메뉴입니다. 웹사이트명과 같은 메뉴명이죠. 이 웹사이트의 핵심적인 부분인듯 합니다.

웨어이즈포스트로 블로그 검색 누락 노출 확인

위 이미지의 검색창에 본인이 운영하는 블로그 주소를 넣고 검색을 누르면 바로 사용이 가능 합니다. 웨어이즈포스트 메뉴의 주기능은 블로그 누락글을 체크하는 것입니다. 누락이 되면 애써 올린 포스팅들이 노출이 되지않고 이 현상은 저품질 블로그로 연결된다고 합니다. 애써 운영하는 블로그가 저품질 블로그에 빠져버리는걸 원하는 사람은 없을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평소에 주기적으로 검사를 해야 누락이 되어 문제가 되는 글들을 잡아내서 조취를 취할 수가 있습니다. 글을 올리고 나서 하루정도 지나면 결과에 반영된다고 하니 천천히 확인해 보면 될듯 합니다.

웨어이즈포스트 누락 예시

위의 이미지는 부끄럽지만 제 블로그의 노출 누락 확인 검색결과 입니다. 보시면 상태 부분에 빨간색 엑스 표시로 가득 차 있습니다. 싹다 노출 누락이 되 있다는 뜻이죠. 아주 심각한 상황입니다. 노출이 잘 되는 블로그라면 상태 부분이 녹색 표시로 가득차 있을 것 입니다. 노출이 되지 않는 글은 해당글이 갖고 있는 키워드가 검색 순위 100위권에 들지 못 했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즉 제 포스팅은 지구 밖 어딘가에 쳐박혀 있다는 뜻이라는 겁니다. 현재 제 블로그 검색 결과로는 할수 없는 기능이지만 노출 상태 옆을 보면 키워드를 검색하는 곳 있습니다(빈창을 클릭하면 커서가 나옵니다.). 각 글마다 검색을 할 수 있고 자신이 검색유입을 의도한 키워드를 검색해 보면 순위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50 위 정도의 순위라면 대략 5~6 페이지 정도에 노출이 되고 있다는 뜻 입니다.

검색 누락 노출 원인 및 대처방안

제가 드릴 말씀은 아니지만 혹시 등록하신 글이 노출이 되지 않는다면 아래의 자료를 참고해주세요.

포스팅 누락 원인

검색노출이 되기 위한 여러가지 조건들이 있네요. 일단 포스팅 후 24시간 정도가 지나야 검색이 돠기 시작하는걸로 보입니다. 그밖에 스팸문서, 유사문서로 판단시 검색에 노출이 되지 않는 다고 합니다. 일단 저의 경우 딱히 위 조건에 위배된 경우는 없어보입니다. 일단 저는 블로그를 시작한지 약 2주정도 밖에 안 됐기 때문에 시간이 좀 더 필요한 듯 하고 글을 부지런히 더 올리면서 상황을 지켜보고 대처방안을 연구해 보려고 합니다. 이번 글을 여기까지만 하기로 하고 제 티스토리 블로그에 변화가 생긴다면 그에 관해 다시 한번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블로그를 운영한다는 것이 이것 저것 신경 써야 할 부분이 참 많다는 것을 느끼는 요즘입나다. 특히 본격적으로 시작한지 2주일 정도된 제 입장에서는 더더욱 그렇습니다. 최적화는 뭐고  RSS등록은 뭐고 키워드는 뭐고 저같은 초보에게는 참 생소한 용어들입니다. 그래도 이왕 시작한거 부지런히 해 볼 계획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티스토리 블로그 운영시에 가장 먼저 해야하는 네이버 RSS등록에 대해서 설명을 해 볼 요량입니다. 이미 다수의 포스팅들이 존재하지만 제 포스팅도 저같은 왕초보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RSS란?

RDF site summary(RDF사이트요약), rich sitesummary(풍부한 사이트 요약), really simplesyndication(초간편 배급) 등의 줄임말이며 뉴스나 블로그등 컨텐츠 업데이트가 자주 일어나는 웹사이트에서 업데이트된 정보를 자동적으로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라고 합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블로그 등의 자주 업데이트 되는 웹사이트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자동적으로 제공해주는 역을 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RSS를 등록을 해야 하는 이유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한다면 네이버 포털에서 별도의 작업이 없어도 자동으로 검색이 됩니다만 지금 제가 운영하는 페이지는  티스토리 블로그입니다. 그렇기 때문레 타 포털에서 검색이 되기 위해선 RSS주소를 등록을 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등록을 해야 하는 사이트는 네이버, 다음, 네이트, BING, ZUM, GOOGLE 등이 있고  오늘은 네이버 RSS 등록을 우선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에 RSS를 등록하는 방법

웹마스터도구 사이트 등록

네이버는 우리나라 포털 사이트 시장의 약 70% 정도의 점유율을 차지 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네이버 블로그가 아닌 티스토리 등을 운영 중이라면 네이버에 RSS를 등록하여 유입량의 증가를 이끌어 내야 합니다.네이버에  RSS등록을 위해서는 우선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에 접속을 합니다.  따로 가입 필요없이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가능합니다.

접속을 하시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보실수 있습니다. 우선 사이트 소유 확인을 진행해야 하므로 본인이 운영중인 페이지의 URL을 입력을 해주시면 사이트 소유 확인이 나오고 HTLM을 체크해 주시면 메타태그 확인이 가능 하십니다. 그 메타테그를 그대로 복사하셔서 티스토리로 갑니다. 티스토리 설정으로 가셔서 꾸미기의 스킨변경으로 이동 후 사용중인 스킨 편집-> HTML편집 까지 이동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실수가 있습니다.

HTML 편집화면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서 복사해 온 메타태그를 HTLM편집화면의 head와 head 사이(이미지의 빨간 테두리 확인)에 붙여 넣어주시고적용을 클릭해 주신 후 다시 네이버로 돌아가셔 보안문자를 입력하시고 확인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방금 한 절차가 잘 마무리가 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실수가 있습니다.

제 블로그가 잘 등록이 되있습니다. 사이트 목록의 등록된 URL을 클릭을 해 주시면 사이트 관리 페이지로 들어가게 됩니다. 페이지 좌측의 메뉴 중 요청을 클릭하신면 RSS제출이라는 메뉴가 나오는데 그것을 클릭 하시고 본인이 운영하시는 블로그 URL/rss를 입력해 주시고 확인을 눌러 주시면 RSS등록이 마무리가 됩니다.  *URL 뒤에 / rss 반드시 붙여주셔야 합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rss가 아주 잘 등록되었습니다. 조금은 번거롭지만 저같은 컴맹도 별 문제 없이 잘 마무리 지을 수 있었습니다. 사실 아직 왕초보라서 최적화나 키워드나 이런건 좀 어렵게 다가오기는 하는데 하나씩 해나가다보면 좋은 블로그를 만들수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초보 블로거들 모두 재미있게 해나가길 바라겠습니다.

+ Recent posts